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관련

아동중심 놀이치료(Child-Centered Play Therapy)

by 난나니 2017. 9. 24.

 




아동중심 놀이치료 (Play Therapy)


 

전남의대 정신과학교실 / 전남대학교병원 정신과, 소아청소년 정신건강클리닉

최 영


 

비지시적, 아동중심, 인본주의 놀이치료

(nondirective, child-centered, humanistic play therapy)


1. 기본 철학

 

지시적인 놀이치료에서 치료자가 방향을 이끌고 해석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해, 비지시적인 아동중심 놀이치료는 아이 자신이 긍정적인 성장과 치료적 방향의 원천이 된다.

 

적절한 상황에서 아이가 성장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면 아동들은 자신 내부의 힘을 인식하고, 자신 스스로를 위해 생각하며, 스스로 결정할 수 있고, 심리적으로 보다 성숙해지며, 그 결과 자기(selfhood)를 실현하게 된다. 이런 스스로의 계획을 통한 자기실현(realization of selfhood via one's map)이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핵심이다.


2. Virginia Axline의 치료원칙

 

치료자는 아동과 따뜻하고 친숙한 관계를 맺어야 한다. 좋은 관계(rapport)는 가능한 빠를수록 좋다.

치료자는 아이 자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치료자는 관계 안에서 허용 받는 느낌을 만들어내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해준다.

치료자는 아이가 표현하는 감정을 잘 인식해서 아이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이 느낌을 되돌려 준다.

치료자는 아이 자신이 스스로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깊이 존중해준다. 선택하고 변화를 일으키는 책임은 아이의 것이다.

치료자는 어떤 방식으로든 아이의 행동이나 대화를 이끌려고 시도해서는 안 된다. 아이가 이끌고 치료자는 따라간다.

치료자는 치료를 서둘려고 시도해서는 안 된다. 치료란 점진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치료자가 인식해야만 한다.

치료자는 치료가 현실세계에 뿌리를 내리고 아이가 관계 안에서 책임을 인식하도록 한계(limits)를 정할 뿐이다.

 

3. 치료자의 자격

 

(1) 전문가 : 사회과학이나 행동과학 분야의 일정 정도 이상의 학위를 가지면서 정신역동, 진단과 상담기법에 정통한 자로서, 놀이치료의 방법에 대한 강의와 사례지도(supervision)를 마친 사람들을 일컫는다.

 

(2) 비전문가 : 전문가의 사례지도(supervision) 아래 이루어지는 부모, 교사, 대학생, 간호사 등에 의한 놀이치료를 통해 부모-자녀 관계의 개선, 교사-아동 관계의 개선, 훈육과정에서 겪는 곤란한 문제의 감소, 갈등과 반항행동의 감소 등 성공적인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4. 대상 아동

 

(1) 선택 : 특별한 증상이나 문제를 개선하는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자기 수용, 독립과 타인의 수용을 목적으로 어떤 아이들을 대상으로도 비지시적 놀이치료는 가능하다. 자기 실현(self-actualization)에 어려움이 있는 자폐증이나 정신병적 상태의 아동은 비지시적 놀이치료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2) 대상 연령 : 정상적인 지능을 가진 만 12세 이상의 아이들에서는 효과가 적다. 대개 만 9세 이전의 아동에게 추천된다.

 

5. 집단 놀이치료

 

또래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며, 또래들이 하는 것처럼 행동하고 말하고 옷을 입으려고 하고, 집단에 참여하려는 욕구가 있는 아이들은 집단 놀이치료가 추천된다. 하지만, 심한 정도의 형제간 경쟁심이 있는 아동, 반사회적 아동, 성적인 욕구가 높은 아동, 지속적인 도벽이 있는 아동, 심각하게 공격적인 아동은 집단 놀이치료에 적합하지 않다. 심각한 충격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 반응을 보이는 아이들도 집단보다는 개인 놀이치료가 추천된다.

 

6. 놀이재료

 

(1) 장난감의 선택기준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 놀이감이 좋다.

현실생활에서 다루기 힘든 공격성이나 의존심 등의 감정을 촉진할 수 있는 장난감을 선택한다. (펀치백, 총, 군인, 장갑차, 젖병, 접시, 장난감 요리기구, 컵, 물)

가능한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장난감이 좋다.


(2) 구체적인 장난감의 예

 

인형의 집, 가족인형, 장난감 가구, 찰흙, 크레파스, 그림 종이, 동물장난감, 군인, 자동차, 아기인형, 전화기 두 대, 젖병, 가족을 나타낼 수 있는 손 꼭두각시, 경찰과 의사 인형, 블록, 레고, 모래상자

 

7. 치료자의 행동

 

(1) 언어적 행동

 

가. 공감 반응 : 아이의 생각이나 행동에 깔린 감정을 강조해주는 방식으로 아이에게 되돌려주고 치료자의 이해를 말로 표현해 준다.

 

나. 치료의 틀 만들기 : 첫 시간에 치료환경에 관련된 내용을 아동에게 알려준다. 상황에 적절한 아이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환경을 조정하거나 정보를 제공해준다. 치료시간은 얼마나 걸리는지, 끝난 후에는 어디로 갈 것인지, 얼마나 자주 놀이치료가 시행될 것인지, 치료자가 하는 일은 무엇인지, 아동이 할 일은 무엇인지 등을 가르쳐준다.

 

다. 한계(limit) 설정

 

놀이 도구이외에 치료실 안에 있는 물건이나 시설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

치료자를 신체적으로 공격해서는 안 된다.

면담시간을 지나서 치료실에 남아있는 것은 금지한다.

치료실에서 장난감을 가져가는 것은 금한다.

창밖으로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을 던져서는 안 된다.

 

(2) 치료적인 기법

 

가. 치료자의 개입 : 행동에 대한 합리적인 한계 안에서 전적으로 아이에게 초점을 맞춘다. 아이가 치료시간을 이끌고 치료자는 일정 한계 안에서 활동에 참여한다. 즉, 참여하면서 아이의 놀이를 뒤따라간다. 치료자는 아동의 성공과 실패, 성숙한 행동과 미숙한 행동, 예쁜 행동과 미운 행동에 대해 가능한 비슷한 관심과 감정을 제공하도록 노력한다.

 

나. 물리적인 위치 : 가능하면 아이와 같은 높이의 평면에서 활동하며 3-4 발걸음 정도의 신체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 비밀보장 : 치료상황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신시켜주는 것이 좋다.

 

8. 대략적인 치료과정

 

(1) 첫 세션

 

따뜻하고 친근감 있고 지지적이며 수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치료과정에서 말하고 싶은 모든 것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전달해준다. 치료자는 아동이 원한다면 같이 놀아 줄 것이라고 말해준다. 아동이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을 할 때는 치료자가 말해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아주 수줍어하는 아동이라도 네 번째 세션 이내에 자유스럽게 놀 수 있게 된다.

 

(2) 초기 세션

 

놀이시간의 현실적 상황, 치료자, 그리고 한계에 대한 시험을 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가끔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자가 정말로 아이의 행동을 비판하거나 심판하지 않는다는 것을 배우게 되어 나중에 좀더 자유스럽게 자신을 표현하게 된다.

 

(3) 중기 세션

 

점차 퇴행적인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유아적인 말투, 아기 놀이, 인형과 자신을 먹이고 키우는 놀이가 이루어지면서 의존과 독립의 주제를 다루게 된다. 어른을 신뢰하고 편안한 마음이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성격의 재구성이 일어나고 자기를 수용하는 모습이 늘어난다.

 

(4) 말기 세션

 

현실 지향적인 놀이가 많아진다. 공격적인 모습은 현실적인 사건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좌절에 대한 참을성이 생기며 친사회적인 행동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출처: http://www.drchoi.pe.kr/play5.htm

댓글